영화 <안시성>은 2018년 개봉해 약 54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한 한국 사극 블록버스터입니다. 고구려가 당나라의 대군을 상대로 벌인 치열한 성곽 방어전을 스크린에 재현하며, 압도적인 스케일과 함께 애국심을 자극하는 전투 장면으로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죠. 이번 글에서는 <안시성>의 실제 역사적 배경, 주요 줄거리, 그리고 관객들이 보낸 반응과 평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역사적 배경: 고구려의 마지막 전성기, 안시성 전투
<안시성>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 벌어진 실존 전투인 ‘안시성 전투(645년)’ 를 소재로 합니다. 645년, 당 태종 이세민은 고구려를 정복하기 위해 약 20만 대군을 이끌고 침공에 나섭니다. 당나라의 기세는 대단했고, 고구려 남부 여러 성이 순식간에 함락되면서 수도 평양이 위협받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당군은 고구려 북쪽의 작은 성 하나에서 멈춰섭니다. 그 성이 바로 안시성(安市城) 이었습니다. 당 태종은 안시성을 단숨에 함락해 고구려를 굴복시키려 했으나, 성주 양만춘과 고구려 군·백성들은 결사항전으로 맞섰습니다. 당나라 군은 최첨단 무기였던 운제(공격용 사다리), 충차(공성추) 등을 총동원해 성을 공략했지만, 결국 수개월 동안 성을 뚫지 못하고 혹독한 추위와 식량난으로 퇴각합니다. 안시성은 이후 고구려 군사사에서 ‘불패의 성’으로 불리게 되었고, 양만춘은 충신의 대명사로 기록됩니다. 영화는 이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당시 성벽을 지키는 고구려 병사들의 전술과 사람들의 결연한 표정을 생생히 담아냈습니다.
줄거리: 성을 지키기 위한 88일의 사투
영화 속 이야기는 당나라 대군이 고구려 국경을 넘으며 시작됩니다. 고구려 조정은 수도 평양을 사수하기 위해 각 지역 성들에게 급히 군을 보내 방어를 준비하게 하지만, 대규모 전력이 부족해 성마다 고립된 상황에 놓입니다. 이때 안시성 성주 양만춘(조인성) 은 대군을 맞서기 위해 성 안의 군사들과 백성들에게 굳은 결의를 다지게 합니다. 양만춘은 무모할 만큼 용감하고도 영리한 장수로, 한 치의 땅도 쉽게 내어주지 않겠다는 각오로 당군을 상대하죠. 당 태종은 성을 빨리 함락하기 위해 충차, 운제 등 최신식 공성 무기를 동원해 끊임없이 성을 공격합니다. 그러나 양만춘과 고구려 군은 역발상과 기민한 전술로 이를 번번이 물리칩니다. 수시로 성문을 열고 기습적으로 나가 당군을 공격하거나, 적이 설치한 공성 무기를 불태우는 등 과감한 전술을 사용합니다. 성 안의 사람들은 점점 지쳐가고, 식량도 떨어져 갑니다. 하지만 양만춘은 결코 물러서지 않고 끝내 싸울 것을 결심하며 백성과 군사들을 독려합니다. 결국 혹독한 겨울이 다가오자 당나라 군은 더 이상 안시성을 공략할 수 없음을 깨닫고 철수하게 됩니다. 영화는 마지막에 성벽 위에 남은 고구려 병사들이 피투성이가 된 채 서로를 부둥켜안으며 승리를 기뻐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됩니다. 이 장면은 치열했던 88일간의 방어전이 단순한 승리가 아니라, 서로를 지키고자 했던 사람들의 고귀한 헌신이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죠.
흥행과 리뷰: 스펙터클과 애국심을 자극하다
<안시성>은 개봉 전부터 약 215억 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대형 프로젝트로 관심을 모았습니다. 압도적인 전투 장면과 수천 명의 보병, 기병이 몰려다니는 대규모 스펙터클이 특히 화제가 됐습니다. 관객들은 “마치 고구려 시대에 실제로 와 있는 듯한 생생함”, “국산 영화에서 이런 대규모 전투 장면을 볼 줄 몰랐다”며 호평했죠. 특히 성벽 위에서 병사들이 충차를 무너뜨리고, 불화살이 밤하늘을 가르는 장면은 영화관에서 가장 큰 환호를 받은 장면이었습니다. 반면 일부 평론가들은 극적 허구를 위해 역사적 디테일을 많이 생략하고, 캐릭터의 심리 묘사가 다소 얕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시성>은 한국형 사극 블록버스터로서의 의의를 충분히 인정받았습니다. 최종적으로 <안시성>은 약 544만 관객을 모으며 손익분기점을 넘겨 흥행에 성공했고, 이후 IPTV와 OTT에서도 꾸준히 스트리밍되며 회자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도 <안시성>은 TV 특선 영화나 넷플릭스, 웨이브 등에서 자주 편성되며 많은 이들에게 다시금 ‘고구려의 기개’를 떠올리게 합니다. 혹시 이 영화를 아직 보지 않았다면, 주말 밤 가족과 함께 시청해 보세요. 그리고 성벽 위에서 끝까지 물러서지 않았던 병사들과 백성들의 얼굴을 바라보며,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도 결코 잊지 말아야 할 ‘무언가’를 마음에 새겨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