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스물>은 2015년 개봉해 약 313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청춘 코미디 장르에서 상당한 흥행을 기록한 작품입니다. 김우빈, 준호, 강하늘 세 배우가 그려낸 20살 청춘의 방황과 일탈, 설렘을 유쾌하게 담아내며 당시 젊은 세대들에게 큰 공감을 받았습니다. ‘웃기다 웃긴데, 왠지 내 이야기 같아서 씁쓸하다’는 평가를 받았던 이 영화는 지금도 많은 이들이 인생 영화로 꼽곤 하죠. 이번 글에서는 <스물>의 감독 이야기, 주요 줄거리, 그리고 관객과 평단이 남긴 리뷰를 통해 그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감독: 현실 청춘을 거침없이 담아낸 이병헌 감독
<스물>은 이병헌 감독 의 작품입니다. (배우 이병헌과 동명이인) 각본가 출신으로 <과속스캔들> 각본을 쓴 작가로도 유명합니다. 그는 “우리 모두 한때 스물이었고, 그래서 이 영화는 특별하다”고 말하며, 스물이라는 나이가 가진 무모함, 우정, 욕망, 두려움을 있는 그대로 그리고 싶었다고 밝혔습니다. 영화 속 대사들은 현실 20대들이 술자리에서 할 법한 솔직하고 때론 유치한 농담으로 가득 차 있어, 관객들은 “진짜 친구들과의 대화 같다”고 공감하곤 했습니다.
줄거리: 20살, 아무것도 모르는 청춘들의 진짜 이야기
<스물>은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세 친구 치호(김우빈), 경재(준호), 동우(강하늘)의 이야기를 그립니다. 이들은 성격도 꿈도 전혀 다르지만, 하나같이 철없고 아직 세상 물정에는 서툰 스무 살입니다.
- 치호 : 재수생. 얼굴도 잘생기고 허세도 가득해 여자만 보면 들이대기 바쁩니다. 대학은 뒷전이죠.
- 경재 : 명문대에 들어갔지만 공부는 뒷전, 술과 연애에 빠져 방황합니다. 늘 장래를 걱정하지만 답은 없습니다.
- 동우 : 만화를 꿈꾸지만 집이 망해 각종 알바를 전전. 그래도 언제나 꿈을 포기하지 않으려 애씁니다.
세 사람은 낮에는 만화방, 당구장, 술집에서 신나게 떠들고, 밤에는 고민에 눌려 술에 의지하기도 합니다. 치호가 좋아하던 여자가 다른 남자와 결혼하고, 동우는 만화 공모전에서 떨어지며, 경재는 대학에 환멸을 느끼는 등 이들의 청춘은 생각보다 훨씬 거칠고 힘듭니다. 하지만 결국 술잔을 기울이며 “우리 아직 스물인데 뭘” 하고 허탈하게 웃습니다. 영화는 이 장면에서 스무 살 청춘의 덧없음과 소중함을 동시에 보여주죠.
리뷰: 웃기지만 아프다, 현실 청춘 영화
<스물>은 개봉 당시 젊은 관객들에게 폭발적 지지를 받았습니다. “저건 내 이야기 같다”, “우리 오빠 보는 것 같아서 웃기다가 울었다”는 반응이 이어졌습니다. 김우빈, 준호, 강하늘 세 배우의 자연스러운 케미와, 이병헌 감독 특유의 직설적인 대사, 속도감 있는 연출은 현실감을 더했습니다. 평론가들은 “가벼운 농담이 깊이를 방해한다”는 평도 남겼지만, 대부분 관객들은 “그래서 더 현실적이다. 스무 살이란 원래 철없으니까”라고 공감했죠.
2025년 현재도 <스물>은 넷플릭스, 웨이브 등 청춘 영화 추천작에서 빠지지 않습니다. 혹시 아직 안 봤거나 한참 전에 봤다면 이번 주말 친구들과 다시 보세요. 그리고 보고 난 뒤 “그래도 참 좋았던 시절이었다”고 한 번 웃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