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부산행>은 2016년 개봉해 약 1,156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한국형 좀비 재난 영화의 역사를 새로 쓴 작품입니다. 빠른 전개와 치밀한 긴장감, 그리고 가족과 인간성에 대한 묵직한 질문까지 던져 단순한 좀비 영화 그 이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주인공 탐색: 재난 속 인간의 다양한 얼굴들
- 서석우(공유) : 일중독 증권맨으로 처음엔 자기 가족만 살기 위해 이기적으로 행동합니다. 하지만 딸 수안을 지키며 점점 타인을 도울 줄 아는 진짜 아버지로 변모합니다.
- 상화(마동석) : 임신한 아내를 둔 터프하지만 정 많은 남자. 좀비 떼와 맨몸으로 맞서며 모두를 지키다 결국 스스로를 희생합니다.
- 용석(김의성) : 대기업 임원으로, 살아남기 위해 타인을 무자비하게 배척하는 인간 이기심의 극단을 보여줍니다.
- 수안(김수안) : 서석우의 어린 딸로, 끝까지 사람을 걱정하고 동정하는 어른스러운 모습을 보입니다.
줄거리: 부산까지 가면 살 수 있을까?
서석우는 생일을 맞은 딸 수안을 부산에 있는 아내에게 데려다주기 위해 KTX를 탑니다. 하지만 열차가 출발한 뒤, 좀비로 변한 여성이 몰래 타면서 KTX는 공포의 열차로 바뀝니다. 좀비는 빠른 속도로 퍼지고, 승객들은 문을 닫아 다른 사람을 배제하며 살기 위해 몸부림칩니다. 서석우는 처음에는 자기 가족만 챙기지만, 상화 부부와 함께 좀비 떼를 뚫으며 점차 변해갑니다. 열차가 부산에 도착할 무렵, 상화는 끝까지 좀비와 싸우다 죽고, 서석우도 자신이 물리자 딸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열차에서 몸을 던집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수안과 성경이 터널을 지나 군인 앞에서 노래를 부르는 장면은, 잔혹한 재난 속에서도 인간다움과 희망을 보여줍니다.
리뷰: 좀비보다 더 무서운 건 사람
많은 관객들은 <부산행>을 보고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서웠다”고 했습니다. 용석의 끝없는 자기합리화, 아이들까지 밀어내며 자기만 살겠다는 모습에 치를 떨었고, 반면 상화와 서석우가 보여준 인간적 용기에는 눈물을 흘렸습니다. 마동석의 액션 장면은 통쾌함과 동시에 가슴을 먹먹하게 했고,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극한 상황에서 인간의 민낯을 보여주는 사회적 보고서 같다”고 평했습니다.
결론: 살아남는 것보다 중요한 건 어떻게 사는가
2025년 지금도 <부산행>은 좀비 장르를 넘어 인간에 대한 성찰을 던지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넷플릭스, 웨이브 등에서 꾸준히 회자됩니다. 이번 주말 이 영화를 보고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내가 저 열차에 있었다면 과연 누구처럼 행동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