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베테랑>은 2015년 대한민국 극장가를 뜨겁게 달군 범죄 액션 영화입니다. 1341만 관객을 모으며 역대 흥행 7위에 오를 만큼 큰 성공을 거뒀죠. 단순히 범죄와 액션의 통쾌함을 넘어서, 재벌과 경찰의 권력 구조, 그리고 정의를 유쾌하게 꼬집는 블랙코미디적 요소로도 많은 관객들의 호평을 받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베테랑>의 감독 및 제작 뒷이야기, 주요 줄거리, 그리고 작품에 대한 리뷰와 해석을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감독과 제작 뒷이야기: 류승완 감독의 통쾌한 한 방
<베테랑>은 대한민국 대표 장르 영화 감독인 류승완 감독이 연출했습니다. 류승완 감독은 <짝패>, <부당거래>, <베를린> 등 상업성과 작품성을 동시에 잡는 장르 영화를 만들어온 인물로, 일상 속 불의와 부조리를 통쾌하게 뒤집는 연출에 탁월합니다. 특히 <베테랑>은 류승완 감독의 전작 <부당거래>와 일정 부분 맥을 같이합니다. <부당거래>가 검찰과 경찰, 건설업체의 유착을 다뤘다면 <베테랑>은 재벌과 경찰의 대결 구도를 통해 대한민국 사회의 권력 관계를 더욱 직접적으로 드러냅니다. 류 감독은 시나리오를 구상할 당시 실제 재벌가 갑질 사건들을 조사하면서 “관객이 현실에서 느낀 분노를 극장에서만이라도 시원하게 풀어주고 싶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제작은 외유내강에서 맡았으며, CJ엔터테인먼트가 배급했습니다. 액션 장면에 있어서는 특유의 ‘류승완식 리얼리티’가 그대로 살아 있는데, 주요 격투 장면들은 와이어나 과장된 CG 없이 배우들이 대부분 직접 소화해 강렬한 몰입감을 줍니다.
줄거리: 뻔뻔한 재벌 3세와 맞붙은 형사들
영화 <베테랑>은 강력반 형사 서도철(황정민) 과 그의 팀이 대기업 3세 조태오(유아인) 의 비리와 폭력을 집요하게 파헤치는 과정을 그립니다. 서도철은 경찰 내부에서도 터프하기로 소문난 강력반 형사. 차량 절도범을 잡으러 갔다가 화물트럭과 맞붙는 오프닝 장면에서부터 그의 캐릭터가 생생히 드러납니다. 그러던 어느 날, 친분이 있던 트럭 기사 방과장이 대기업 유통회사로부터 대금 지급을 받지 못해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합니다. 사건을 조사하던 서도철은 그 배후에 조태오 가 있음을 알게 됩니다. 조태오는 아버지 그룹의 막강한 재력을 등에 업고 온갖 불법과 폭력을 일삼는 인물로, 사람을 폭행하거나 약물로 위협해도 돈과 권력으로 모두 무마해왔습니다. 서도철과 팀원들은 거대 로펌과 경찰 고위층의 압력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집요하게 조태오를 추적합니다. 결국 사건은 폭발적으로 치닫고, 조태오는 자신의 범죄 사실이 언론과 검찰에 드러나면서 몰락하게 됩니다. 영화는 마지막까지 “대한민국에서 돈과 권력이 정말 무너질 수 있는가”를 묻듯, 스릴 넘치는 추격전과 유머를 버무려 마무리됩니다.
리뷰: 통쾌함과 씁쓸함을 동시에 주는 한국형 오락영화
<베테랑>은 많은 관객에게 “속이 뻥 뚫린다” 는 평을 받았습니다. 그 이유는 현실에서는 잘 보지 못했던 '권력 가진 악당의 파멸'을 극장에서만이라도 통쾌하게 경험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특히 유아인이 연기한 조태오는 한국 영화 역사상 손꼽히는 ‘미친 캐릭터’로 꼽힙니다. 그의 뻔뻔한 웃음과 폭력적인 행동, 그리고 갑질은 관객의 분노를 자극했고, 덕분에 마지막에 몰락하는 장면에서 더 큰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했습니다. 한편으로 영화는 “현실에서는 저런 재벌 3세가 저렇게 무너질까?”라는 씁쓸함을 남기기도 합니다. 황정민의 능청스러운 형사 연기, 류승완 감독 특유의 현실적 액션과 유머는 영화가 단순히 무겁지만은 않게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베테랑>은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문제를 다루면서도 관객들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한국형 오락영화’의 정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영화 <베테랑>은 개봉 이후 9년이 지난 지금도 종종 TV에서 재방영되며 높은 시청률을 기록합니다. OTT에서도 꾸준히 인기 순위에 오르며 다시 보려는 사람들이 많죠. 이는 여전히 우리 사회가 가진 불평등과 갑질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관객들이 이 영화를 통해 대리 만족과 통쾌함을 느끼기 때문일 것입니다. 만약 아직 <베테랑>을 보지 않았다면, 이번 주말 OTT로 찾아보며 그 명대사 “너희 집안에서 얼마면 될까?”를 직접 느껴보세요. 현실과 영화가 묘하게 교차하며 통쾌함과 씁쓸함을 함께 맛볼 수 있을 것입니다.